주택청약종합저축이란?
적금형식 또는 일시예치식으로 납부 가능하며 민영주택 및 국민주택을 공급받기 위하여 가입하는 저축상품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기존에 있던 청약 저축, 청약 부금, 청약 예금을 모은 것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이란?
정부와 국민의 힘이 2023년 11월 23일 확정한 '청년 내 집 마련 1·2·3 주거지원 프로그램'에 포함된 핵심 내용으로, 현행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대비 완화된 가입요건과 높은 이자율, 납입한도를 적용하는 청약통장이다.
주택청약종합저축/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의 차이점
가입대상 : 제한 없음/ 만 19~34세 무주택자 + 연소득 5,000만 원 이하 금리 (연도마다 다름): 연 2.8% (기본)/최대 연 4.5%(가입 기간 2년 이상 유지 시) 연 400만 원 정도의 차이가 납니다!! (10년 이상일 경우 3.1%로 똑같습니다)
납입 한도: 월 2만 원 ~ 50만 원/월 2만 원~ 월 100만 원 세제 혜택: 소득공제 가능/소득공제 +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중도 출금: 불가/청약 당첨 후 계약금 용도로 1회 가능 추가 납입: 청약 당첨 후 추가 납입 불가/청약 당청 후에도 추가 납입 가능
당첨 시 분양:모든 주택(공공 주택, 민영 주택)/분양가 6억 이하 85m² 주요 차이점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금리가 높고(최대 연 4.5%) 세제 혜택이 더 많음 월 납입 한도가 더 높아(100만 원) 더 많은 금액을 저축 가능 중도 출금 및 추가 납입 가능, 자금 운용에 유리합니다.
전환 방법 & 주의할 점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가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입 조건을 갖추었다면, 은행을 방문하여 전환 신청이 가능하고 다만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이 당첨 계좌인 경운 전환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모바일 앱에서도 가능합니다!!) 단,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은 연령 조건 (34세 이하)을 넘어가면 일반 청약통장으로 자동 전환됩니다. 기존 청약통장 해지 후 신규 가입이 아닌, 전환 방식으로 진행해야 기존 납입 내역이 유지됩니다. 우리 청약 저축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유익한 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독자님들 오늘도 저축 & 투자 열심히 해서 우리 부를 이루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제 월급쟁이의 삶은 그만 부업을 시작하라! (48) | 2025.04.02 |
---|---|
2025년 떠오를 소비 트렌드 (18) | 2025.03.29 |
2025년 4월 디지털 화폐(CBDC) 시대 개막 ! 현금처럼 사용한다? (44) | 2025.03.25 |
CU, GS25,세븐일레븐 토스 "페이스 페이" 도입 (4) | 2025.02.13 |
폴 앳킨스는 누구일까? (2) | 2025.02.10 |